javascript 데이터 제어하기02
javascript 데이터 제어하기
▶ 오늘은 지난번에 이어 데이터를 제어하는 다양한 조건식에 대해 알아볼까합니다. 그럼 공부하러 가볼까요?
1. for문
▶ for은 반복문의 한 종류로 for(초기값; 조건식; 증감값)을 입력 후 실행하면 for에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결과값이 도출됩니다.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?
1
2
3
4
5
{
for (let i = 1; i <= 10; i++) {
console.log(i);
}
}
▶ 위의 예시에서 변수인 let을 i로 지정하고 i의 초기값이 1부터라고 지정했을 때, 조건은 10보다 작고 1부터 시작했을 때 조건에 해당하면 1씩 증가되도록 설정해두었기 때문에 결과는 1,2,3,4,5,6,7,8,9,10이 도출됩니다.
2. 중첩 for문
▶ 중첩 for문의 경우 예시를 통해 이해를 하는게 더 빠를테니 아래의 예시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1
2
3
4
5
6
7
{
for (let i = 1; i <= 10; i++) {
for (let j = 1; j <= 10; j++) {
console.log(i, j);
}
}
}
▶ 위의 예시는 반복문인 중첩 for문을 사용하여 1부터 10까지의 숫자 쌍으로 출력하는 것으로, 외부 for문과 내부 for문으로 나뉩니다.
- 외부 for문 : i를 변수로 정의하여 1로 초기화한 후 10 이하인 수까지 1씩 바깥쪽 수를 반복하여 증가시킵니다. 즉, 바깥쪽은 1, 2, 3 각각의 숫자가 열번씩 중복되어 출력됩니다.
- 내부 for문 : j를 변수로 정의하여 1로 초기화한 후 10 이하인 수까지 1씩 안쪽 수를 반복하여 증가시킵니다. 즉, 안쪽은 1부터 10까지 열번씩 중복되어 출력됩니다.
때문에 결과값은 1 1, 1 2, 1 3…2 1, 2 2, 2 3… 10 9, 10 10 까지 숫자 쌍으로 도출됩니다.
3. break문
▶ break는 중간에 연산을 멈춰주는 역할을 구조입니다.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?
1
2
3
4
5
6
7
8
{
for (let i = 1; i <= 10; i++) {
if (i == 5) {
break;
}
console.log(i);
}
}
▶ 위의 예시에서 변수인 let을 i로 지정하고 i의 초기값이 1부터라고 지정했을 때, 조건은 10보다 작고 1부터 시작했을 때 조건에 해당하면 1씩 증가되도록 설정해두었기 때문에 원래라면 결과는 1,2,3,4,5,6,7,8,9,10이 도출되나, break문을 통해 i가 5일 때 멈추도록 지정했기 때문에 결과값은 1,2,3,4가 도출되어집니다.
4. continue문
▶ continue는 해당하는 값을 생략하는 구조입니다.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?
1
2
3
4
5
6
7
8
{
for (let i = 1; i <= 10; i++) {
if (i == 5) {
continue;
}
console.log(i);
}
}
▶ 위의 예시에서 변수인 let을 i로 지정하고 i의 초기값이 1부터라고 지정했을 때, 조건은 10보다 작고 1부터 시작했을 때 조건에 해당하면 1씩 증가되도록 설정해두었기 때문에 원래라면 결과는 1,2,3,4,5,6,7,8,9,10이 도출되나, continue문을 통해 i가 5일 때 생략되도록 지정했기 때문에 결과값은 5를 제외한 1,2,3,4,6,7,8,9,10이 도출되어집니다.
5. swith문
▶ switch 문은 특정 변수의 값을 여러 경우(case)에 따라 변수값의 일치, 불일치를 판별할 때 사용되는 구조를 말합니다.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?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{
const num = 100;
switch (num) {
case 90: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90)");
break;
case 95: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95)");
break;
case 100: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100)");
break;
case 105: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105)");
break;
default: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");
}
}
▶ 위의 예시는 num의 값이 100이라는 조건을 지정했을 때 해당하는 case의 조건과 일치하는 결과값이 있으면 해당 결과값이 도출되고, 일치하는 조건이 없으면 default 값이 도출됩니다. 따라서 case가 100일 때 일치하는 switch문이 있기 때문에 해당 결과값은 실행되었습니다.(100)이 나옵니다.
이렇게 오늘은 데이터를 제어하는 다양한 조건식에 대해 알아봤는데요,
다음엔 어떤 정보를 들고 올 지 기대해주세요😁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