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script 데이터 제어하기01
javascript 데이터 제어하기
▶ 오늘은 데이터를 제어하는 다양한 조건식에 대해 알아볼까합니다. 그럼 공부하러 가볼까요?
1. if문
▶ if문은 프로그래밍에서 조건을 검사하여 해당 조건이 참(True)일 때 특정 코드 블록을 실행하는 조건식으로,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며, 조건문이라고도 불립니다.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?
💡 true와 false가 나오는 조건
① true : “문자열”, 숫자, [], {}
② false : ““(빈문자열), 0, null, undefined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{
if ("조건")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true)");
} else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false)");
}
}
{
if ("")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true)");
} else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false)");
}
}
▶ 위의 예시에서 if문에는 “조건”이라는 문자열이 들어갔기 때문에 결과값을 도출하면 ‘실행되었습니다.(true)’로 도출되게 됩니다. 반대로 빈문자열은 ‘실행되었습니다.(false)’로 결과값이 도출됩니다. 각각의 결과값이 나오는 조건들을 알아두면 더 좋겠죠?
2. 다중 if문
▶ 다중 if문은 여러 개의 조건을 검사하여 각각에 맞는 코드 블록을 실행하는 제어 구조입니다. 이는 프로그래밍에서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해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데, 다중 if문은 if문을 중첩하거나 else if문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.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?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{
const num = 100;
if (num == 90)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90)");
} else if (num == 100)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100)");
} else if (num == 110)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110)");
} else if (num == 120)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120)");
} else if (num == 130)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(130)");
} else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");
}
}
▶ 위의 예시는 num이 100일 경우 결과값이 도출되는 조건식이 있는 다중 if문입니다. 해당 조건식에 부합하는 if문이 있다면 결과값이 도출되기 때문에 실행되었습니다.(100)이 나오게 됩니다.
3. 중첩 if문
▶ 중첩 if문은 if문 내부에 다시 if문을 사용하여 조건을 더 세분화하는 구조를 말합니다. 이는 프로그램에서 복잡한 조건을 처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?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{
const num = 100;
if (num == 100)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1(100)");
if (num == 100)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2(100)");
} if (num == 100)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3(100)");
}
} else {
console.log("실행되었습니다.4");
}
}
▶ 위의 예시는 num이 100일 경우 결과값이 도출되는 조건식이 있는 중첩 if문입니다. 세 가지의 if문이 조건식과 일치하기 때문에 결과값은 실행되었습니다.1(100), 실행되었습니다.2(100), 실행되었습니다.3(100)으로 총 3개가 나오게 됩니다.
4. 상황 연산자
▶ 상황 연산자(ternary operator)는 세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조건에 따라 값을 반환하는 연산자로, 보통 “조건식 ? 표현식1 : 표현식2;”과 같은 형식을 가집니다.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?
1
2
3
4
5
6
{
const num = 100;
// 상황 연산자(조건식 연산자) - 가장 많이 사용
num == 100 ? console.log("true") : console.log("false");
}
▶ 위의 예시는 num이 100일 경우에 대해 if문을 생략한 상황연산자로, 위에 언급한 형식에 맞춰 조건식엔 num == 100을, 표현식1엔 console.log(“true”), 표현식2엔 console.log(“false”);를 입력해주면 결과값은 조건식과 동일하기 때문에 true가 도출되게 됩니다.
5. while문
▶ while문은 프로그래밍에서 반복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구조로 주어진 조건이 참(True)인 동안 반복해서 특정 코드 블록을 실행하고, 조건이 거짓(False)이 되면 반복을 종료합니다.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?
1
2
3
4
5
6
7
{
let num = 1; // 초기값;
while (num <= 10) { // 조건식
console.log(num); // 실행문;
num++; // 증감값;
}
}
▶ 위의 예시에서 변수인 let의 초기값이 1부터라고 지정했을 때 설정된 조건식, 실행문, 증감값에 대한 결과값이 도출됩니다. 여기서 조건은 10보다 작고 1부터 시작했을 때 조건에 해당하면 1씩 증가되도록 설정해두었기 때문에 결과는 1,2,3,4,5,6,7,8,9,10이 도출됩니다.
6. do while문
▶ do-while은 반복문의 한 종류로 while 문과 유사하지만, 실행 후 조건을 확인하여 결과를 도출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.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?
1
2
3
4
5
6
7
{
let num = 1; // 초기값;
do {
console.log(num); // 실행문;
num++; // 증감값;
} while (num <= 10); // 조건식;
}
▶ 위의 예시에서 변수인 let의 초기값이 1부터라고 지정했을 때 설정된 실행문, 증감값, 조건식에 대한 결과값이 도출됩니다. 여기서 조건은 10보다 작고 1부터 시작했을 때 조건에 해당하면 1씩 증가되도록 설정해두었기 때문에 실행 후 조건을 확인하게 되면 결과는 1,2,3,4,5,6,7,8,9,10이 도출됩니다.
이렇게 오늘은 데이터를 제어하는 다양한 조건식에 대해 알아봤는데요,
다음엔 어떤 정보를 들고 올 지 기대해주세요😁!